지식한끼, 꿀팁들 대 방출!

안녕하세요 지식한끼입니다. 오늘의 유용한 지식은 무엇일까요? 예전에는 오디오 확장자로 mp3 하나만 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음악은 mp3, 영상은 mp4로 거의 고정되어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오디오 확장자가 등장하게 되었죠. 하지만 오디오를 업로드해야 할 때나 프로그램 사용 시 지원 확장자가 특정 확장자로 고정되어 있어 파일 확장자를 변환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오디오 파일 변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디오 변환 사이트

 

오디오 변환 프로그램은 정말로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팟 인코더가 있는데 제가 포스팅에 소개드리는 기준은 간단히 변환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저는 많은 플랫폼이 웹앱을 지향하면서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어떤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웹 상에서 모든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오늘 알아볼 오디오 변환 방법 또한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에서 쉽게 가능한 방법들을 준비해보았습니다.

 

 

먼저 구글에다가 오디오 변환이라고 하면 가장 위에 online-audio가 나옵니다. 해당 사이트를 접속해 줍니다.

 

 

online-audio 사이트는 별도의 비용 청구 없이 웹 상에 오디오 파일 (mp3, mp4 등)을 쉽게 다른 확장자로 변경할 수 있으며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방법 또한 간단해서 해당 사이트를 뽑았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위와 같이 총 3단계를 거치면 오디오 변환을 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1단계

 

첫번째 단계는 당연하게도 변환하고자 하는 오디오 파일 (mp3, mp4 등)을 올려주시면 되겠죠? 이 사이트의 좋은 점이 로컬 파일 뿐만 아니라 최근에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클라우드 드라이브에서도 파일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많은 분들이 URL 부분을 보고 유튜브 링크 또한 오디오로 변환 가능한지 궁금하실 것입니다.

 

아쉽게도 유튜브 영상에는 저작권이 있는 영상들도 많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막아두었습니다. 하지만 유튜브 영상을 오디오로 변환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 다만 개인별로 저작권 문제는 신경쓰셔야 합니다 )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포스팅으로 다루겠습니다.

 

 

 

2단계

 

두번째 단계는 변환하고자 하는 확장자 파일 선택 및 오디오 설정들을 진행하는 것 입니다. mp3, wav, iphone 벨소리, m4a, flac, ogg 등 다양한 확장자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밑에 보시면 오디오 품질을 볼 수 있는데요. 정말 고급스럽게 뽑아내지 않는 이상 기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변환하는데 좋습니다. 

 

옆에는 고급 설정 및 트랙 정보 편집 설정이 있는데요. 각각의 설정 정보를 확인해봅시다.

 

 

1.고급 설정

(1) 비트 전송률

1초당 데이터 전송량으로 쉽게 말해 매 초당 오디오 데이터를 얼마나 내보낼 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비트율이 클 수록 오디오 품질이 좋다고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잘 설정하지 않는 옵션입니다.

 

(2) 샘플 전송률

이것도 비트 전송률이랑 비슷한 개념인데 별로 사용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3) 그 외 옵션

페이드 인은 오디오 시작 시 서서히 오디오가 시작되는 느낌을 주는 옵션입니다. 반대로 페이드 아웃이란 오디오가 종료 될 시에 서서히 종료되는 느낌을 주는 옵션입니다. 반대 방향 옵션은 오디오를 반대 방향으로 재생하는 옵션입니다. 그나마 많이 사용할 것 같은 것은 페이드 인과 페이드 아웃이 있겠군요. 물론 해당 기능들은 영상 편집 프로그램 등에서 대부분 사용하는 옵션이지만 간단히 오디오에만 효과를 적용할 시에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트랙 정보 편집

처음에 오디오 파일들은 대부분 음악들을 위해 탄생하였다 보니깐 트랙 정보를 오디오 파일내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트랙 정보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는 않고 제목, 아티스트, 앨범 등 일반적인 노래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일반적인 오디오 파일을 변환할 때는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3단계

3단계 변환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버튼이 나옵니다. 만약 다운로드 버튼이 아닌 밑의 저장 위치의 클라우드 드라이브를 선택하면 해당 플랫폼에 로그인 화면 진행 후 자동으로 드라이브에 업로드 됩니다. 이 것도 은근히 편한 기능이죠.

 

지금까지 오디오 변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만약 오디오 변환해야 할 상황이 있다면 포스팅 보시고 쉽게 따라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